과거와는 달리 이번 선거에서는 핵심 유권자인 고령층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없이 쏟아졌던 여론조사는 같은 날 상반된 결과가 나오기도 해 혼란스럽기까지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선거 기간, 정치권이 민심을 제대로 읽었는지 한번 되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YTN 미디어홀에 마련된 민심 연구소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김지환 기자] <br />오는 2025년, 우리나라 인구 10명 가운데 2명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이 됩니다. <br /> <br />대한민국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거죠. <br /> <br />인구 비중이 갈수록 늘어가는 강력한 유권자층. 바로 노인들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반영해, 지난 2012년 18대 대선에서는 노인 기초연금 공약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핵심 당선 요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신지원 기자] <br />물론 이번 대선에서도 후보들은 다양한 노인 정책을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전면에 내세우거나 스포트라이트 받은 공약은 과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정치권의 관심은 온통, 목적지 정하지 못하고 떠다니는 표심으로 분류된 2030 세대에 쏠려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령층은 이미 정치성향이 굳어진 집토끼로 인식돼, 더는 구애할 필요가 없게 된 셈이죠. <br /> <br />[김지환 기자] <br />이렇게 고령층이 떠다니는 표심, 부(浮)동층이 아니라, 더는 움직이지 않는 표심, 부(不)동층이 된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유튜브입니다. <br /> <br />신문, TV 같은 전통 미디어의 영향력이 급감하면서 뉴미디어의 선두주자인 유튜브의 힘은 더욱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 이용자 인식 조사를 보면, 고령층이 정치 이슈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가장 큰 통로가 바로 유튜브입니다. <br /> <br />[신지원 기자] <br />비슷한 종류의 영상을 추천하는 유튜브의 알고리즘. <br /> <br />보고 싶은 것만 보고, 믿고 싶은 것만 믿게 만드는 신기술이 고령층을 떠나지 않는 집토끼로 만들고 있는 거죠. <br /> <br />실제로 한 연구 결과를 보면, 유튜브를 많이 볼수록 진보적 성향의 유권자는 더 왼쪽으로, 보수 성향의 유권자는 더 오른쪽으로 가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지환 기자] <br />이 같은 양극화의 오른쪽 끝에 고령층이 서 있다 보니, 정치권의 시야에서 사라진 셈입니다. <br /> <br />유튜브로 대표되는 뉴미디어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, 이번 선거의 또 다른 특징은 결과가 너무 달라서 신뢰성에 의문이 드는 여론조사들이 쉴새 없이 쏟아졌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비슷한 시기에 진행해서 단일화 이틀 전에 발표된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YTN 김지환 (kimjh070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0804404553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